이미지SEO

구글 이미지 검색에 노출되는 방법

구글은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을까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입니다. 구글은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한 시도를 많이 하고 있지만 그 이미지 자체를 보고 사람과 같이 이해하는 것은 사실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구글에게 “이 이미지는 이런 이미지야”라고 알려주어야 우리 콘텐츠를 더 잘 이해시킬 수 있는데요, 이렇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미지 SEO라고 합니다.

이미지 SEO란?

이미지 SEO는 검색엔진이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텐츠를 읽는 독자에게 가시성 높은 글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인 이미지 최적화를 위해 검색엔진이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는 alt text, file name을 최적화하며, 독자에게 가시성 높은 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배치, 캡션, 파일크기 최적화를 사용합니다.

이미지 SEO를 왜 해야하는가?

이미지 최적화는 2가지 효과가 있습니다. 구글 이미지 검색에 노출 그리고 검색결과페이지 상위노출.

1. 구글 이미지 검색 노출 아래 이미지와 같이 이미지 탭에서 검색결과에 상위노출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최적화 에시로 puppy in the gras로 이미지 검색한 결과

2. 검색결과페이지(SERP) 상위 노출 일반적인 검색결과 페이지에서도 아주 높은 랭킹 팩터 시그널은 아니지만 검색엔진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상위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최적화 결과 에시로 puppy in the grass로 검색한 검색결과페이지

이미지 SEO (이미지 최적화) 방법

그렇다면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을까요? 중요한 요소를 순서대로 나열해보았습니다.

alt text 최적화

alt text란 다음과 같이 <img> 태그의 alt 속성 값을 의미합니다. alt 속성은 원래 이미지가 로드되지 않을 때 또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웹접근성의 측면에서 사용하는 속성입니다.

<img src=”https://www.example.com” alt=”puppy retriever with blond hair sitting in the grass”>

아래와 같은 이미지에는 “잔디에 앉아 얽히고 설킨 금발 강아지의 샷”이라고 적혀있네요.

이미지 alt text 최적화 예시로 페이지 이미지와 html 소스코드

이미지 alt text를 작성할 때는 4가지를 기억해주세요.

alt text는 매우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설명합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그냥 “강아지”라고만 적는 것보다 잔디에 앉아 얽히고 설킨 금발 강아지의 샷”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핵심 키워드를 포함합니다.

이미지 alt text에는 핵심 키워드를 포함해야합니다. 예를들어, 마우스를 판매하는 브랜드에 있다면, “마우스”라는 키워드는 당연히 중요하겠지만, 브랜드의 제품이라면 브랜드 명을 꼭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키워드를 무조건 많이 적는다고 해서 효과가 있지는 않습니다.

예를들어, 이미지에 담긴 모든 텍스트를 다 적을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그렇게 적게되면, 이미지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불분명해지기 때문에 이미지를 설명하는 한문장 정도의 길이면 충분합니다.

모든 이미지에 alt text를 포함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잘한 소셜미디어로 이동하는 링크의 이미지, 배너이미지 등 콘텐츠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이미지까지 alt text 설정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본문에서 반드시 필요한 핵심 이미지만 alt text를 설정해주세요.

이미지의 배치와 연관성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이미지는 콘텐츠 내용과 붙어있는 것이 좋습니다. 즉, 무관한 이미지의 배치는 SEO에 큰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독자의 가독성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해주세요.

특히, 구글에서는 그래프 표, 그래프 이미지를 매우 선호하는데요, 이미지로 된 표와 그래프는 가독성을 높인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표와 그래프 이미지를 사용하실 때는 반드시 alt text를 사용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파일크기 최적화

국내에서는 파일크기가 웹사이트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경우는 사실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파일 크기가 가벼울수록 웹사이트 로딩속도 점수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게 되기 때문에 파일크기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에서는 webP와 같은 형식을 권장하지만 사실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깨져서 보인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webP를 사용하는 곳은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JPEG, PNG를 화면에서 깨지지 않을 정도의 이미지 크기로 사용하면 됩니다.

그 밖의 방법

그 밖에 이미지 사이트맵을 제출하거나, 이미지 파일 이름을 변경하는 등의 방법이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위의 3가지만 최적화하더라도 상위 노출되는 데에는 큰 영향을 주고있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지를 포함한 글을 작성할 때 3가지만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관련 게시물